漢詩와 書藝

呈邑令張侍丞

jahun 2019. 3. 31. 21:53


呈邑令張侍丞(정읍령장시승)邑令이 張侍丞에게 보내다  程顥

仲春時節百花明(중춘시절백화명)화창한 봄날 온갖 꽃이 만발하였는데

何必繁絃列管聲(하필번현열관성) 하필 거문고와 피리소리를 들을까

借問近郊行樂地(차문근교행락지)가까운 곳에 놀만한 곳을 묻는데

潢溪山水照人淸(황계산수조인청)황계의 산수가 사람을 맑게 비추네


  )

邑令(읍령) : 邑長(읍장).

張侍丞(장시승) : , 侍丞管名.

仲春(중춘) : 春二月.

繁絃(번현) : 번거롭게 거문고를 연주함.

列管(열관) : 피리 등을 벌려놓음, 피리를 붐.

借問(차문) : 옆에 있는 사람에게 물어봄.

行樂地(행락지) : 즐겁게 노는 곳.

潢溪(황계) : 계곡(溪谷)의 이름, 물이 고인 늪.

* 程顥 (정호): 1032~1085/ 중국 북송(北宋) 중기의 유학자 (儒學者)

. (): 伯淳 (백순) / (): 明道(명도) / 시호(諡號): ()

  '명도(明道) 선생'이란 호칭으로 더 잘 알려져 있음.

.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에서 태어남.

. 동생 '이천(伊川) 정이(程頤)'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라 불리며,

  '염계(濂溪) 주돈이(周敦)' 문하(門下)에서 수학(修學).

. '이정자(二程子)'의 학문과 사상은 후에 '주자(朱子)'에게 계승되어

  '주자학(朱子學 :성리학性理學 )'을 이루게 됨.

      






'漢詩와 書藝'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偶成 / 栗谷 李珥  (0) 2019.04.15
春興 - 鄭夢周  (0) 2019.04.07
寒 山 詩 2  (0) 2019.03.31
중용 27장 (2)  (0) 2019.03.24
天衾地席  (0) 2019.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