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화(梅花) - 왕안석 (王安石)
牆角數枝梅 (장각수지매) 담 모퉁이의 매화 몇 가지
凌寒獨自開 (능한독자개) 추위를 이기고 홀로 피었네
遙知不是雪 (요지불시설) 멀리서도 눈이 아님을 알겠나니
爲有暗香來 (위유암향래) 은은한 향기가 풍겨오누나
-왕안석(王安石) -
왕안석(王安石1021~1086)은 송나라 때 개혁정치를 주장한 인물로 흔히 조선시대 광조(1482~1519)와 비교되는 인물이다.
부국강병과 인재양성을 목표로 내세웠던 신법(新法)을 실현코자 많은 파란을 겪었던 그는 만년에 관직에서 물러나 종산(鐘山)에서 여생을 보냈다.
학자며 문인이기도 했던 그는 구양수(歐陽修)를 스승으로 하여 명석하고 박력 있는 문체를 만들어 냈다. 문장의 대가가 되어 당· 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치기도 한다.
자연을 읊은 시가 특히 우수하며, 유교와 불교의 경학에도 밝았다. 불교에 심취해 많은 경전을 열람하고 당대의 고승들과 만나 많은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이 시는 종산에 묻혀 살 때 지은 자연시로 고요한 자연 속에 선(禪)의 경지가 은근히 피어나는 선시의 대표작이라 할 만한 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