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한시 해설문
對酒惜餘景[대주석여경] 술잔을 대하니 경치에 도취되니
高樓烟霧開[고루연무개] 높은 누각아래 안개 또한 개이는구나
暗花臨戶落[암화임호락] 석양에 꽃잎은 창밖에 나부끼고
嬌燕入簾回[교연입렴회] 예쁜 제비도 나와 같이 즐겨하네.
.
天晴遠峰出[천청원봉출] 하늘 개니 멀리 산봉우리 나오고
夜久數星流[야구수성류] 밤 깊으니 수개의 별빛이 흐르네.
多少殘生事[다소잔생사] 남은 여생에 다소의 일이 있으니
能無愧海鷗[능무괴해구] 바닷위 갈매기만 같지 못하구나.
高齋晴景美[고재청경미] 높은 집이 날이 개어서 아름답고
淸氣滿園林[청기만원림] 맑은 기운이 동산 숲에 가득하네.
倚杖寒山暮[의장한산모] 지팡이 짚고서니 한산은 저물고
開門落照深[개문낙조심] 문을열자 저녁노을이 짙게 비치네.
高樹鳥已息[고수조이식] 높은 나무에 새들도 이미 멀어지고
小園花亂飛[소원화란비] 작은 동산에 꽃 어지럽게 날리네.
日兼春有暮[일겸춘유모] 봄도 세월따라 저무는데
誰與我同歸[수여아동귀] 어느님 따라 이세상 같이할까
高樹鳥已息[고수조이식] 높은 나무에 새들도 이미 멀어지고
小園花亂飛[소원화란비] 작은 동산에 꽃 어지럽게 날리네.
日兼春有暮[일겸춘유모] 봄도 세월따라 저무는데
誰與我同歸[수여아동귀] 어느님 따라 이세상 같이할까
宿雨朝來歇[숙우조래헐] 간밤비 개인 아침에
開軒覽物華[개헌람물화] 창문열고 자연 경치를 바라보네.
雲光棲斷樹[운광서단수] 구름 빛이 꺾어진 나무에 깃들고
風影轉高花[풍영전고화] 바람은 꽃임을 달래는 구나.
高齋晴景美[고재청경미] 높은 집이 날이 개어서 아름답고
淸氣滿園林[청기만원림] 맑은 기운이 동산 숲에 가득하네.
倚杖寒山暮[의장한산모] 지팡이 짚고서니 한산은 저물고
開門落照深[개문낙조심] 문을열자 저녁노을이 짙게 비치네.
天晴遠峰出[천청원봉출] 하늘 개니 멀리 산봉우리 나오고
夜久數星流[야구수성류] 밤 깊으니 수개의 별빛이 흐르네.
多少殘生事[다소잔생사] 남은 여생에 다소의 일이 있으니
能無愧海鷗[능무괴해구] 바닷위 갈매기만 같지 못하구나.
地幽忘盥櫛[지유망관즐] 거처고요하니 몸단장 잊었으니며
目極喜亭臺[목극희정대] 눈이 즐거움에 달해 정자를 즐기네.
信美諧心賞[신미해심상] 참 아름다움이 마음을 기쁘게 하고
誰憂客鬢催[수우객빈최] 누구 근심인지 객 살쩍만 길어나네.
對酒惜餘景[대주석여경] 술잔을 대하니 경치에 도취되니
高樓烟霧開[고루연무개] 높은 누각아래 안개 또한 개이는구나.
暗花臨戶落[암화임호락] 석양에 꽃잎은 창밖에 나부끼고
嬌燕入簾回[교연입렴회] 예쁜 제비도 나와 같이 즐겨하네.
.
'漢詩와 書藝'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花石亭 (0) | 2020.11.08 |
---|---|
早發白帝(조발백제城) (0) | 2020.10.11 |
過香積寺 (0) | 2020.05.10 |
漢詩와 書藝 / 山行 - 杜牧 (0) | 2020.01.13 |
漢詩와 書藝 / 宿金壤縣 - 鷄林 高兆基 (0) | 2020.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