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코디언 기능 이해하기
간혹 아코디언을 처음 접하신 분들이 주로 하시는 말씀이 120 이란 베이스버튼 숫자에 지레겁을 먹고 이 많은 버튼을 어떻게 다 외우냐며 어려움을 말씀하시는것을 여러번 보았습니다 앞 페이지 베이스 배열표를 보시면서 이설명을 천천히 읽어보신다면 아코디언 이란 악기가 건반부는 피아노와 똑같지만 어려움을 애기하는 베이스 부분이 음악 이론중 오선지에 #이나 b 이 붙는 순서 에 의해 얼마나 정교하게 제작이 되였는지 또 악기중에 아코디언 처럼 반주와 연주를 동시에 편하고 쉽게 연주할수있게 되여 있는지를 조금은 빠른 이해 하시고 아코디언의 매력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하는 마음에 설명을 드리고져 합니다 설명중에 오타나 잘못된 부분은 항시 뎃글부탁드립니다 내가 직접 해보니 어렵기만 하던데 무슨 말이냐구요 설명을 드리지요 악기중에 반주와 연주를 동시에 연주 할수있는 악기는 건반악기 입니다 전자 키보드의 디지털 메모리에 의한 자동 반주를 제외 한다면 피아노 보다 아코디언이 반주하기에 아주 잘 만들어진 악기입니다 점점 어려운 말이라구요 피아노와 비교하며 설명을 드리지요 먼져 왼손 베이스 및 코드배열을 설명 드리지요 어느 노래이든 코드배열에서 가족 코드 란것이 있습니다 가족 코드가 무엇이냐구요 아래를 천천히 읽어 보세요 우선 아코디언에 처음 입문하여 많이 연주하시는 노래 동요 (오빠 생각) (나비야) 와 가요 (울어라 열풍아) (찔레꽃) 등 C장조 노래 악보를 보시면서 악보에서 코드배열을 보시기 바랍니다 악보상에 (C)코드 와 (G)코드 (F) 코드 3개의 코드가 각 노래마다 배열이 되여있음 을 금방 아실 것입니다 이렇게 C장조 노래 한곡 에 배열되여 있는 3개의 코드를 가족 코드라고 하고 이3개 코드만 아시면 C장조 (메이져)노래 을 연주 할수가 있다는 이야기도 이러한 근거에서 비롯되였을 겁니다 이제 아코디언 을 메고 거울 앞에서 거울을 통해 베이스 버튼 을 보시면 으뜸화음 C코드 을 가운데로 위로는 딸림화음 G코드 아래로 버금딸린화음 F 코드 순서로 배열이 되여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다른 악기에선 볼수없시 연주하기가 아주 편안하게 제작된 악기가 아코디언 악기입니다 이 가족 코드를 피아노 건반에서 누른다면 베이스 음 C(도)와, G(솔)와, F(파) , 가 흩어져 있어 아코디언 보다 연주 하기가 어렵구요 화음역시 C화음 (도미솔) G화음 (솔시례) F화음 (파라도) 가 뿔뿔이 흩어져 있어 3화음과 4화음을 모두다 왼손 3손가락 또는 4손가락으로 흩어져 있는 음을 찿아 눌러야하는데 아코디언에서 보시면 가로로 세째줄 으뜸 화음CM 과 딸림화음 GM 버금딸림화음 FM 이 으뜸화음 CM(도미솔)을 가운데두고 위로 딸림 화음 GM(솔시례) 과 아래로 버금딸림화음 FM(파라도) 가 건반 개념이 아닌 버튼식으로 배치 되여 있어 CM 버튼 하나만 누르면 도,미,솔 소리가 나오고 GM 버튼하나를 누르면 솔,시,례 FM 버튼을 누르면 파,라,도 소리가 나오도록 만들어져 있으니 연주 하기가 얼마나 편합니까 그래서 편하다고 말씀 드린것입니다
가족 코드 ; 예 F 코드일경우 C코드일경우 G 코드일경우 D코드일경우 A코드일경우 딸 림 화 음 ; C G D A E 으 뜸 화 음 ; F C G D A 버금딸림화음 ; Bb F C G D
이처럼 가족코드 배열이 타악기에는 없는데 아코디언 베이스 에서는 모든 코드가 으뜸음을 가운데두고 위와 아래로 배열이 되여 있어 연주하기 편리하게 되여 있다는 것 입니다 단점 이라면 건반과 베이스 버튼 화음 (코드)버튼이 눈에 안보인다는게 단점이겠죠 이는 아코디언을 처음 하시는 분들이나 초보이신 분들은 처음엔 거울을 앞에 놓고서 거울을 보면서 연습 하시면 그리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어느 공중파 방송이나 어느 연주회나 또 악기 연주를 어느정도 하시는 분들을 보시면 시선이 악보를 향 하고 있지 악기를 바라보지 않음을 느끼실수가 있을 겁니다 느껴보지 못하신 분들은 앞으로 연주를 잘하시는 분들의 눈이 어딜 바라보고 있는지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어느 악기든 감각을 익힐때까지가 어렵지 감각을 익히고 나면 자유롭게 원하는 버튼과 건반을 향해 손가 락이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다음은 아코디언 120베이스 버튼 배열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이미 아코디언 베이스 버튼 배열표를 가지고 계신분들도 계시겠지만 없으신 분들은 다음 페이지 아코디 언 베이스 버튼 배열표 를 보시면서 설명을 들으시면 빠른 이해가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우선 120베이스란 숫자를 생각하지 마시고 (세로로 7숫자 가로로6숫자)를 둘째줄 기본 베이스줄 및에 서두번째 (Fb)에서부터 세로로 #이나b을 뺴고 읽어보시면 (F,C,G,D,A,E,B 즉 파,도,솔,례,라,미,시) 가 반복적 (오도음) 간격으로 배열 되여 있음을 아실것입니다 오도음 이 뭐냐구요 설명을 드리지요 F(파)~C(도)거리를 손가락을 세면서 접어보세요 파,솔,라,시,도 오도음 간격이란 뜻이지요 또 C(도)와 G(솔) 간격을 세어보세요 역시 오도음 간격이 됩니다 이처럼 베이스버튼 배열이 오도음 간격으로 반복 배열이 되였으며 그과정에 중간에 # 이나 b이 붙지않은 F,C,G,D,A,E,B,를 기준으로 아코디언을 어깨에 매였다는 전재하에 보시면 아래로는b붙고 위로는 #이붙는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시리라 생각 합니다 다음은 가로로 가운데 두번째줄 분홍색 C 를 기준으로 오른쪽 가로로 보시면 기본베이스 (C)영문자는 똑같고 CM,Cm,C7,Cd 가 표시 되어 있는데 M, m, 7, b 다를뿐 같은(C)표기했습니다 이를 설명드리면 (M)은 메이져코드 즉 (장조)를표기하며) (m)은 마이너코드 즉 (단조)를 표기하고 (7)은 쎄븐코드를 ) (d)는 디미니쉬코드)를 표기한다는것입니다 가로로 보시면서 세로로 보시면 모든줄이 같은 방법으로 표기가 되여 있다는것을 아실겁니다 이를 요약해서 정리하면 세로로
첮째줄은 ; 카운터베이스 두째줄은 ; 기본베이스 셋째줄은 ; 메이져코드 M 넷째줄은 ; 마이너코드 m 다섯째는 ; 쎄븐스코드 7 여섯째줄은 ; 디미니쉬코드 d
가 되며 세로로는 여섯줄 모두가 같은 의미로 이해하시면 된다는것입니다 여기서 가로로 첫번째줄은 두번째줄 기본베이스 C 음계 도를 1 례를2 3도음이 올라간 E(미) 음계가 세로로 모든줄이 기본 베이스 음에서 왼쪽 가로 카운터 베이스는 3도 올라간 음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앞으로 기본 베이스( F,C,G,D,A,E,B, (즉) 파,도,솔,례,라,미,시 ) 를 입이 마르고 달토록 외우셔야 이후 오선지에 # 이나b 붙는 순서 조이동(키) 할때 이해를 빨리 할수 있다는것 을 아시고 꼭 외우시길 당부드립니다 참고로 여기서 저에 설명중에 1도 2도 3도 4도 5도는 빠른 이해를 하기위해 음계 도를1도로 례를 2도 미를3도 파를4도 솔을 5도로 설명드리며 이는 음악 이론상에서( 온음은 장 몇도 ) (반음은 단 몇 도 로) 설명 하고 있습니다 이점 착오 없으시기 바라오며 다음 페이지 아코디언 배열표 기본 베이스 위에서 아래로 3번째 줄을 보 시면 위로 G#, D#, A# 아니고 Ab, Eb, Bb이 붙어있는데 저에 설명에는 위쪽으론 #으로 아래로는 b 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을 드렸습니다 이를 건반을 보시면 A(라)에서 반음을 내리면Ab 솔에서 반음을 올리면 (G#)되므로 같은 건반이 되겠지요 제가 가지고있는 사진 자료가 그 사진 하나라서 그리 올렸습니다 아래 두줄도 같은원리로 생각 하시고 착오 없이 이해하시기 바라오며 모든 악기가 그렇듯 제가 설명 하는것은 아코디언의 기능과 이론 연주 방법을 설명 하는것일뿐 연주 실력은 많은 연습을 하는것만이 연주 실력이 향상 되고 음악을 바르게 전달 한다는 것을 인지하시 고 연습을 많이 하시기 바랍니다
|
'아코디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김지연 - 아코디언을 말하다 (8) -무대본&무편집- (0) | 2021.03.15 |
---|---|
- 김지연 - 아코디언을 말하다 (7)-무대본&무편집- (0) | 2021.03.15 |
"세계 대회 1등, 국내 유일 아코디언 오케스트라 입니다" (0) | 2021.02.15 |
- 김지연- 아코디언을 말하다 (6)-무대본&무편집- (0) | 2021.02.15 |
- 김지연- 아코디언을 말하다 (5) -무대본&무편집 -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