綜合

天干(천간) 地支(지지)의 의미

jahun 2024. 5. 19. 09:11

 

天干(천간) 地支(지지)의 의미


천간(天干)
(), 乙(), (), (), 戊(무), 己(기), 庚(경), 辛(신), 壬(임), 癸(계) = 10干(간).
지지(地支)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 12支(지).

(간지) (간) (지)를 합한 말이다.

(간)은 줄기라는 의미로 하늘이 돌아가는 상태,
하늘에서 일어나는 변화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부호를 天干(천간)이라 한다.
지(支)는 가지라는 뜻으로
땅에서 일어나는 변화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부호를 地支(지지)라고 한다.

天干(천간) 地支(지지)를 짝을 지워서

天地(천지)의 변화과정을 파악하는 것이 天干地支(천간지지) (간지)다.
天干(천간)은 甲(갑)에서부터 시작하고 地支(지지) (자)에서부터 시작한다.
天干(천간) 地支(지지)를 짝지을 때 甲子(갑자)에서 出發(출발)하여 (계해)로 끝이 난다.
天干(천간) 10(간)과 地支(지지) 12(지)를 짝지어 한 바퀴 돌면 60이라는 數字(숫자)가 된다.


甲子(갑자) 처음 시작을 한다.
甲子(갑자). 乙丑(을축). 丙寅(병인). 丁卯(정묘). 戊辰(무진). 己巳(기사). 庚午(경오). 辛未(신미). 壬申(임신). 癸酉(계유).
甲戌(갑술). 乙亥(을해). 丙子(병자). 丁丑(정축). 戊寅(무인). 己卯(기묘). 庚辰(경진). 辛巳(신사). 壬午(경오). 癸未(계미).
甲申(갑신). 乙酉(을유). 丙戌(병술). 丁亥(정해). 戊子(무자). 己丑(기축). 庚寅(경인). 辛卯(신묘). 壬辰(임진). 癸巳(계사).
甲午(갑오). 乙未(을미). 丙申(병신). 丁酉(정유). 戊戌(무술). 己亥(기해). 庚子(경자). 辛丑(신축). 壬寅(임임). 癸卯(계묘).
甲辰(갑진). 乙巳(을사). 丙午(병오). 丁未(정미). 戊申(무신). 己酉(기유). 庚戌(경술). 辛亥(신해). 壬子(임자). 癸丑(계축).
甲寅(갑인). 乙卯(을묘). 丙辰(병진). 丁巳(정사). 戊午(무오). 己未(기미). 庚申(경신). 辛(신유). 壬(임술). (계해).
60번째 (계해)로 완성되어 처음으로 다시 甲子(갑자)로 시작한다.

또한 (간지) 陰陽五行(음양오행)의 특성인 시간성과 공간성이 있다.

본래 天干(천간)은 날짜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부호이므로 시간성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하여 날짜의 진행 순서를 표시한다.



1년 사계절을 표시할 天干(천간)
갑(甲)과 을(乙)은 봄(春).
병(丙)과 정(丁)은 여름(夏).
무(戊)와 기(己)는 중앙(中央) 또는 사계절(四季節)조절자(調節者).
경(庚)과 신(辛)은 가을(秋).
임(壬)과 계(癸)는 겨울(冬)이 된다.


천간(天干) 10글자가 갖는 의미도 봄부터 겨울에 이르는 변화 상황을 표현한다.
甲 - 갑
甲은 어린싹 껍데기, 씨앗의 껍질 등의 의미가 있다.
따라서 천간의 갑은 모든 초목의 새싹들이 껍질을 깨고 나온다는 뜻이 있다.
-

乙은 새싹이 처음 나올 때
乙자와 같이 굽은 모양으로 솟아 나오는 것을 말한다.
-

丙은 불꽃 병(炳)과 같은 말로 밝게 드러난다는 뜻이다.
곧 양기가 충만하여 자라나는 모습이 두드러짐을 말한다.
-

丁은 씩씩하고 왕성하다는 뜻이 있고 또 머무르거나 그쳐 쉰다는 뜻이 있다(停).
곧 어린 싹이 쉬지 않고 자라 성장을 멈춘다는 뜻이다.
-

戊는 무성하다(楙)는 뜻과 바꾸다(貿)는 뜻이 있다.
곧 생장이 무성해지면 이전의 몸체가 변해서 바뀐다는 의미다.
-

己는 그치다(已 그칠 이)의 뜻과 벼리 기(紀)의 의미가 있다.
즉 만물이 성숙을 다 하여 줄기와 바탕을 갖추었다는 말이다.
-

庚은 고친다 바뀐다는 경(更)과 같다.
곧 열매를 맺어 생명을 다시 바꾼다는 뜻이 있다.
-

辛은 새롭다(新)는 뜻이 있다.
곧 새로운 생기가 시작된다는 뜻이다.
-

壬은 맡긴다 또는 임신하여 기른다(任)는 의미가 있다.
즉 새로운 생명이 다시 잉태하여 자란다는 뜻이다.
-

癸는 헤아리고 계획을 세운다(규 揆)는 뜻이 있다.
즉 생명이 다시 시작하기 위하여 법도에 맞게 기다린다는 의미다.



지지(地支)도 시간성을 갖고 있다.
현재의 陰陽合歷(음양합력)은 1년의 시작을 寅月(인월)로 하고 있으므로
순서대로 1월은 寅(인), 2월은 卯(묘), 3월은 辰(진), 4월은 巳(사), 5월은 午(오), 6월은 未(미),
7월은 申(신), 8월은 酉(유), 9월은 戌(술), 10월 亥(해), 11월 子(자), 12월은 丑(축). 이다.
1년 사계절을 地支(지지)로 구분하면

봄(春) = 寅(인), 卯(묘), 辰(진),
여름(夏) = 巳(사), 午(오), 未(미),
가을(秋) = 申(신), 酉(유), 戌(술),
겨울(冬) = 亥(해), 子(자), 丑(축).


하루를 12진으로 구분하여 시간을 파악 한다.
십이 地支(지지) 글자가 갖는 의미 또한 1년 12달의 변화 상태를 표현한다.
-

子는 낳아 기른다는 의미가 있다.
양기가 이미 생기기 시작하여 만물이 그 싹을 낳게 됨을 상징한다.
12종류 상징 동물 중에서 첫번째 동물 를 뜻한다.
시기는 11월에 해당한다.
-

丑은 연결하다. 또는 맺는다(紐)는 뜻이 있다.
죽음의 기운이 다하고 양의 기운이 시작돼 만물이 어린싹을 맺어
땅을 해치고 올라옴을 상징한 것이다. 를 상징한다.
시기는 12월을 말한다.
-

寅은 지렁이(인 蚓)가 움직이는 모습과 같이 양기가 처음 발생하여
만물이 움직이기 시작함을 뜻한다. 호랑이를 상징한다.
정월 즉 1월에 해당한다.
-

卯는 무릅쓰다(모 冒)는 뜻이 있다. 즉 만물이 위에 덮고 있는 땅을 무릅쓰고
밖으로 솟아 나오는 모습을 의미한다. 토끼를 상징한다.
2월에 해당한다.
-

辰은 진동한다(진 震) 혹은 움직이고(동 動) 퍼진다(신 蜃)는 의미가 있다.
즉 만물이 활짝 펴고 나오는 모습 또는 빠르게 진동하여 옛 몸체를 벗어나는 것을 상징하며 을 나타낸다.

3월에 해당한다.
-
巳는 그치다(이 已)는 뜻이 있어 양의 기운이 극에 달해 만물이 왕성하게 자라서
그칠 때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태양이 북쪽 끝에 이른 하지로 을 나타낸다.
4월에 해당한다.
-

午는 바뀐다(교 交)는 의미로 양기운이 절정에 이르면 음의 기운이 다시 시작되듯이
만물의 성장이 극에 달해 형체가 번성한 것을 말하며 을 상징한다.
5월에 해당한다.
-

未는 맛의 의미(味)가 있어 만물이 성숙하여 제 맛을 갖추게 됨을 의미한다.
未는 어둡다는 매 昧의 뜻이 있어 음의 기운이 자라나 만물이 쇠퇴하여
몸체가 점차 어둡게 덮이는 것을 상징하며 을 나타낸다.
6월에 해당한다.
-

申은 편다는 뜻의 신(伸)과 같다. 伸은 또 끌어당겨 성숙시킨다는 뜻이 있다.
이는 가을의 기운이 만물을 수렴하는 것을 말하며 원숭이를 나타낸다.
7월에 해당한다.
-

酉는 늙고(노 老) 익었다(숙 熟)는 뜻이 있다. 만물이 많이 늙어서 성숙하여
기운이 차차 쇠퇴함을 말하며 을 나타낸다.
8월 해당한다.
-

戌은 물이 꺼지듯 멸(滅)하는 것 또는 죽인다(살 殺)는 뜻이 있다.
양기가 미약해지며 서서히 그 기운이 땅속으로 들어가듯 만물의 성장이 다 하여
모두 멸하는 것을 말하며 를 나타낸다.
9월에 해당한다.
-

亥는 씨앗(핵 核)이며 닫고 막는다(해 該)는 뜻이 있다.
태양이 남쪽 끝으로 내려가. 양의 기운이 다하여 감추어진 것과 같다.
따라서 만물은 닫히고 숨어서 감추어지는 것을 말하며 돼지를 나타낸다.
10월에 해당한다.

또한 천간은 시간을 나타내는 한편 공간성으로 방위와 색상과 오행을 표시한다.

☞ 천간(天干)
갑(甲)과 을(乙)은 = 동방, 청색, 목[木]. (큰나무. 넝쿨나무.)
병(丙)과 정(丁)은 = 남방, 적색, 불[火]. (태양. 촛불.)
무(戊)와 기(己)는 = 중앙, 황색, 흙[土]. (산흙. 습기젖은흙.)
경(庚)과 신(辛)은 = 서방, 백색, 금[金]. (바위. 보석.)
임(壬)과 계(癸)는 = 북방, 흑색, 물[水]. (강물. 샘물)


나눌 [匪]   두루 [周] 
 
컨텐츠변경비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