綜合

한방차 민간요법 음식과 건강상식

jahun 2021. 11. 14. 10:13

 

한방차 민간요법 음식과 건강상식

 

 

 

결명차 [決明茶] 꽃

 

 

 

결명차 [決明茶]

 

 

 

결명()이라는 명칭은 눈을 밝게 해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약용으로 재배하고, 높이는 1m 정도이며, 잎은 짝수 1회 깃꼴 겹잎으로 2∼4쌍의 작은잎이 달리고, 작은잎은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이고 길이 3∼4cm이며,

 노란색 꽃이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꽃받침은 5개이고 꽃잎은 5개로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의 원형이고, 

수술은 10개로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씨방은 가늘며 길다.

꼬투리는 15cm 정도로 활처럼 굽고 녹색이고, 씨는 네모지고 1줄로 배열되며, 

한방에서는 종자를 결명자()라고 하는데, 이뇨·변비 및 눈을 밝게 하는 데 

 효력이 있어 습관성 변비·고혈압·급성결막염·각막혼탁증세 등에 쓰이며,

볶아서 보리차처럼 차로 끓여 마시기도 한다.

 

 

 

 

 

설사 [diarrhea]



설사는 소화 불량이나 알레르기성, 신경성 등 간단한 윈인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고 바이러스성 간염, 담석증과 같은 간담계 질병이나 소화성 궤양, 급성 위장병,

식중독, 저산성에 의한 설사도 있으며 직장암, 장 기생충병, 장유착증,

급성 장염과 간은 장 질환에 의한 설사도 있다.

 한방에서는 외인, 내인의 원인별료 분류하며 형태

및 양상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대변에 포함된 수분량은 약75%가 표준인데, 85%가

넘을 경우 설사로 간주한다.

 

설사변은 포함된 수분량에 따라 조금 물렁한 변, 진흙처럼 걸쭉한 변, 물처럼 맑은 변을 나눌 수 있고, 급성 설사는 물렁한 변이 하루 두세 번 나오는 정도에서, 열 번 이상 맑은 변이 쏟아져 몸안이 수분을 잃는 동시에 고열, 구토, 복통을 동반하는

중증의 설사까지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 설사는 설사가 오랫동안 계속되는 것으로 만성적 복부 불쾌감, 복병, 가스가

차고, 계속 변의를 느끼며 복통, 식욕 부진, 불면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한방 처방

 

★ 반하사심탕(半夏心湯)

 

가벼운 설사로 복명과명치에 결림이 있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생강사심탕(生薑瀉心湯) 

복명과 명치에 결림에 있고, 설사가

심한 사람에게 사용한다.

 

감초사심탕(甘草

心湯)

 

 복명과 명치에 결림에 있고, 설사가 심

한 사람에게 사용한다.

갈근탕(葛根湯)

발열, 투통, 오한, 무지근한 배인 사람의 급성 설사에 사용하고, 오한,

발열이 없고, 목 뒤의 결림, 땀이 나오지 않는 등의

증상이 있는 만성 설사에 사용한다.

오령산(五苓散)

목이 심하게 마르고, 땀이 많이 흐르며, 소변량이 적고, 열이 나며,

물을 쏟아놓은 것 같은 맑은 변을 두는 사람에게 사용하고,

아이들의 설사에도 적당하다.

인삼탕(人蔘湯)

명치가 결리고 아픈 증상(흉협고만)이 있고, 식욕이 없으며,

입이 마르거나 입안에 침이 고이는 경우에 사용한다.

 

친무탕(眞武湯)

쉬 피로해지고, 손발의 냉증, 어지러움, 머리 무거움

등이 있는 만성 설사에 사용한다.

 육군자탕(六君子湯)

쉬 피로해지고, 식욕이 없으며, 명치가 당기고 걸리며,

초조감이 드는 사람의 만성 설사에 사용한다.

위풍탕(胃風湯)

만성 설사로 배가 무지근하고, 점액과 피가 섞인

설사를 하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사역탕(四逆湯)

급성 설사로 물이 쏟아지는 것 같은 심한 설사를 하고, 체력이 떨어져 손발이 몹시

차며, 맥이 약하고 얼굴이 창백한 사람에게 사용한다.

민간 요법

♥ 곶감

곶감 3개 와 현지초 10g에 물을 부어, 곶감이 풀어질 때가지 달여 하루 두 번 정도 2~3일간 복용하고, 동의보감에 의하면 감에는 일곱 가지 약효가 있다고 전하고, 예로부터 감잎과 곶감을 약제로 많이 써 왔는데 특히 곶감은 만성설사와 이질을

 멈추는 데 처방해왔으며, 현지초에도 탄닌 성분이 들어

있어 수렴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래나무

가래나무 잔가지 쏘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4회 복용한다.

 감나무

 감꼭지 6개 또는 연시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히 복용한다.

결명차

 결명차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고추

말린 고추 2~3개+감주(1사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냉이

 냉이 뿌리 말린 가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2~3회 복용한다.

마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식하거나

달여서 1~2회 복용한다.

♥ 마늘 

 

구운 마늘을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2~3회 먹는다.

 매실나무

 매실나무 열매 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맨드라미

맨드라미 온포기 8~10g을 또는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명아주

명아주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모란

꽃 또는 뿌리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생즙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회 마신다.

무궁화

꽃봉오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무화과나무

무화과나무 열매 4~5개를 1회분

기준으로 2~3히 생식한다.

보리

겉보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부추

부추 뿌리 15~20g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삼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삼지구엽초

 삼지구엽초 온포기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삽주

 

삽주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생강

덩이뿌리(생강)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석류나무

열매(석류) 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소나무

 

송진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쑥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연꽃

 

연꽃 뿌리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은행나무

 

은행 10~12개를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3~4회 먹는다.

 

 

이질풀

 

이질풀 오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익모초

 

익모초 익모초 온포기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서 2~3회 복용한다.

 

인동

 

인동 잎 또는 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히 복용한다.

 

자작나무

 

자작나무 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히 복용한다.

 

 질경이

 

질경이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창포

 

창포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측백나무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표고

 

표고 버섯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향부자

 

향부자 덩이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