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시인 김삿갓 이야기 (1)
방랑시인 김삿갓 이야기 (1)
방랑시인 김삿갓 이야기 (1) 조부를 조롱하는 시로 장원급제하다 우리는 흔히 김삿갓을 방랑시인, 그리고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시를 남긴 기행의 시인쯤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김삿갓의 참모습일까? 삿갓을 쓰고 다녔기에 흔히 김삿갓 또는 김립(金笠)이라고 부른다. 그의 조상은 19세기에 들어와 권력을 온통 휘어잡은 안동 김씨와 한 집안이었다. 그 때문에 그의 할아버지도 이런저런 벼슬을 할 수가 있었다. 그의 할아버지는 익순(益淳)이요, 그의 아버지는 안근(安根)이다. 그는 세 아들 중 둘째로 태어났다. 벼슬이 높았던 그의 할아버지는 그가 다섯 살 때 평안도 선천부사로 나가 있었다. 그런데 1811년 평안도 일대에서 홍경래가 주도한 농민전쟁이 일어났다. 이때 농민군들은 가산 · 박천 · 선천을 차례로 함락시켰는데, 가산군수 정시는 항복하지 않고 거역하다가 칼을 맞아 죽었고, 선천부사 김익순은 재빨리 몸을 피했다. 그 뒤 김익순은 농민군에게 항복해 직함을 받기도 하고, 또 농민군의 참모 김창시를 잡았을 때 그 목을 1천 냥에 사서 조정에 바쳐 공을 위장하려는 어줍잖은 짓거리를 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김익순은 모반대역죄로 참형을 당했다. 정시는 만고의 충신이 되었고, 반대로 김익순은 비열한 인물로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다. 역적의 자손이니 그 자식과 손자들은 법에 따라 죽음을 당하거나 종이 될 운명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죄는 당사자 김익순에게만 묻고 아들 손자들은 종이 되는 신세를 면했는데, 여기에는 안동 김씨들의 비호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이든 큰아들 병하(炳河)와 작은아들 병연은 종을 딸려 황해도 곡산으로 가서 숨어 살게 했다. 그리고 그녀는 막내아들을 데리고 광주(廣州) 땅 촌구석에서 살다가 이어 강원도 영월로 옮겨가 살았다는 말도 있다. 그녀의 고향은 충청도 결성(지금의 홍성군 결성면)이었지만 창피해서 친정으로 갈 수도 없었을 것이다. 어머니 곁으로 와 살았던 것 같다. 그녀의 어머니는 집안 내력을 철저히 숨기고 살면서 남달리 영민한 작은아들 병연을 글방에 다니게 했다. 철없는 어린 병연은 열심히 공부했고, 스무 살이 되자 과거를 보아 출세하려고 마음먹었다. (어느 지방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시제는 다음과 같았다. 김삿갓은 가슴을 펴고 시를 써내려갔다. 그중 마지막 한 구절만 보면 이렇다. 김삿갓은 마음껏 붓을 놀렸다. 그는 장원급제를 했고 이 사실을 어머니에게 자랑했다. 그러나 어머니는 할아버지의 옛 일을 더 감출 수가 없었다. 이 말을 들은 김삿갓의 심정을 여기에서 적당히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마음을 가라앉히려 했는지 스물두 살 때 장가를 보냈고 이어 손자도 보았다. 그러나 그는 마음을 잡지 못했다. 연민을 거듭한 끝에 그는 아무도 몰래 가족과 이별했다. 그는 삿갓을 쓰고 전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녔다. 삿갓을 비스듬히 쓰고 해학을 토해내면서 이름을 물어도 대답하지 않고 고향을 물어도 모르는 체했다. 그러니 김삿갓으로 통했던 것이다. 그의 호는 난고(蘭皐)였는데, 바위 틈에 자라는 난초라는 뜻으로 고고함을 드러내려는 호였다. 자신의 이름을 꼭 대야 할 자리에서는 난이라 했고, 자를 댈 적에는 이명(而鳴), 호를 댈 적에는 정상(正裳)이라 했다. 방울이니까 울고 치마를 입었다는 뜻이니 이것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형 병하가 죽었다는 소문 때문이었다. 이때 아내와 동침을 해 둘째 아들이 태어났고, 아들을 본 뒤 그는 또 어느 날 훌쩍 집을 떠났다. 이것이 어머니와 아내와의 마지막이었고, 이 둘째 아들은 뒤에 아버지를 찾아 헤맸다. 위로는 강계 · 금강산 · 영월, 아래로는 여산 · 지리산 · 동복까지 끝없는 방랑의 길을 떠돌았다. 그의 발길이 닿는 곳마다 시가 물처럼 쏟아졌고, 그의 숨결이 닿는 곳마다 해학이 넘쳤다. 그는 세상을 환히 알고 있었다. 거들먹거리는 양반의 모습, 거짓에 찬 훈장의 몰골, 정에 굶주린 기생, 굶주림에 허덕이는 농민, 수탈만을 일삼는 벼슬아치······. 그의 눈에 비치는 것은 모두 가식과 위선이었다. 실제는 달인의 경지에 이르러 있었다. 중도 도인도 아닌 탈속의 달인, 이것은 그의 행동과 모습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었다. 추울 때는 솜옷, 더울 때는 홑옷을 입는 것이 평범한 사람들 모습이 아닌가? 누군가 따뜻이 재워주고 먹여주고 그리고 솜옷을 지어주면 마다 않고 입었다가 그 집을 떠날 때에는 어김없이 겹옷을 들고 나갔다. 그리고 헐벗은 사람을 만나면 솜옷을 벗어주고 다시 남루한 겹옷을 걸쳤다. 실컷 마시고 나서 싯줄을 지어놓고 떠들다가 때로는 대성통곡을 일삼기도 했다. 주위 사람들에게, 중국의 굴원(屈原)이 세상 돌아가는 꼴을 보고 통곡한 사연을 떠올리게도 했던 것이다. 세수를 하지 않아 땟국이 줄줄 흘렀고 옷과 신발이 해지거나 너덜거려도 꿰맬 줄을 몰랐다. 추위와 더위, 배고픔과 배부름, 좋고 나쁨, 허위와 진실이 그의 행동을 제어하지 못했다. 한번은 어머니가 결성에서 친정살이한다는 소문을 듣고 찾아왔으나, 이미 세상을 떠났다는 말을 듣고 외가에 들르지도 않고 발길을 돌렸다. 아마 패륜아의 심정으로 발길을 돌렸을 것이다. 그의 둘째 아들은 그를 여기저기 찾아다니다가 세 번쯤 따라잡았지만, 김삿갓은 변 보는 척하며 보리밭 속으로 들어갔다가 도망치는 식으로 아들을 따돌리곤 했다. 그의 아들은 시신을 거두어 그의 연고지인 영월 땅 태백산 기슭에 묻어주었다. 이렇게 그는 자연으로 돌아가 모든 것을 떨쳐버렸다. "daum 백과에서 인용" 다음회부터 김삿갓의 해학과 풍자가 번득이는 이야기로 애기 소설을 이어 갈가 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